1. 하이퍼바이저와 VMware
- 하이퍼바이저(Hypervisor): 가상 머신(VM)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계층
- VMware: 대표적인 하이퍼바이저 기반 가상화 솔루션
- 역할:
- 하나의 물리 서버에서 여러 개의 가상 머신 실행
- 리소스 격리 및 효율적인 사용 가능
- 클라우드 환경에서 인프라 관리 및 배포 용이
2. AWS VPC (Virtual Private Cloud)
- 인터넷을 통해 VPC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음
- AWS는 **각 리전에 기본 VPC(Default VPC)**를 제공하여, 초보자도 쉽게 네트워크 설정 가능
- VPC 목적에 맞게 서브넷, 라우팅, 보안 그룹, NAT 게이트웨이 등 설정 필요
3. AWS CLI (Command Line Interface)
-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통해 AWS 서비스 관리 가능
- 설치 및 인증 과정:
- AWS CLI 설치
- aws configure 명령어를 사용하여 액세스 키 및 시크릿 키 설정
- 터미널(CMD, PowerShell, Bash 등)에서 명령어 실행 가능
- CLI 인증 정보 연결:
- 내 PC에서 AWS CLI를 사용하여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인증 정보 등록
- 콘솔(GUI) 없이 터미널에서 직접 AWS 리소스 생성 및 관리 가능
4. AWS SDK 및 Boto3
- SDK(소프트웨어 개발 키트): AWS 서비스와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
- Python에서는 boto3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AWS 리소스를 관리
- 예제 (Python에서 S3 버킷 생성)
import boto3 s3 = boto3.client('s3') s3.create_bucket(Bucket='my-new-bucket')
- SDK는 AWS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동 가능 (EC2, S3, Lambda 등)
5. AWS CAF (Cloud Adoption Framework)
- 비즈니스 혁신과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AWS 클라우드 도입 프레임워크
- 클라우드 전환을 위한 6가지 주요 관점(도메인) 포함:
- 비즈니스(Business) - 클라우드 전략, 혁신
- 사람(People) - 조직 문화 및 인력 개발
- 거버넌스(Governance) - 비용, 보안, 규정 준수
- 플랫폼(Platform) -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
- 보안(Security) - 클라우드 보안 및 리스크 관리
- 운영(Operations) - 클라우드 운영 및 모니터링
6. AWS 비용 관리
- 각 서비스별 비용을 분석하여 의사결정 가능
- 비용 절감 옵션:
- 온디맨드(일반 인스턴스)
- 사용한 만큼 요금 지불
- 언제든지 종료 가능하지만,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음
- 예약 인스턴스(Reserved Instances)
- 1년 또는 3년 단위로 미리 예약하여 할인된 가격 적용
- 기업에서 주로 활용
- 스팟 인스턴스(Spot Instances)
- 남는 리소스를 저렴하게 제공
- 언제든 회수될 수 있어 비핵심 작업에 적합
- 온디맨드(일반 인스턴스)
- 비용은 리전/서비스/일자/시간별로 세분화하여 확인 가능
7. AWS 글로벌 인프라
- AWS는 최소 한 리전에 2개 이상의 가용 영역(Availability Zone, AZ) 보유
- 서울 리전(AWS Asia Pacific - ap-northeast-2):
- 4개의 가용 영역(AZ) 제공
- 최소 2개 이상 AZ 사용해야 백업 및 고가용성(HA) 보장
- t2.micro 인스턴스는 특정 리전(A, C)에만 배포 가능
8. AWS RDS 및 클라우드 전환 솔루션
- RDS (Relational Database Service): AWS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
- 클라우드 전환을 통해 비용 절감 가능:
- 기존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이전하면 유지보수 비용 절감
- AWS Cost Explorer, AWS Trusted Advisor 등을 활용하여 최적 비용 분석 가능
9. AWS 서비스 및 아키텍처 기반 세미 프로젝트
- 프로젝트 목표:
- AWS 아키텍처 기반으로 구성
- 영수증(비용 추적 시스템) 생성
- AWS Cost Explorer를 활용하여 리소스 사용량 및 비용을 분석
- 서버리스 서비스(AWS Lambda, DynamoDB)와 결합하여 자동 보고서 생성 가능
10. AWS 모듈 요약
- AWS의 핵심 개념과 서비스 범주 개요
- 네트워크, 보안, 컴퓨팅, 데이터베이스, 비용 최적화 등의 내용을 포함
- CLI, SDK, AWS CAF, 비용 관리, 글로벌 인프라 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
AWS 환경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과정에서 위 개념들을 적용하면 보다 효율적인 클라우드 운영이 가능함.
728x90
'DATA >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Networking and Content Delivery (1) | 2024.09.23 |
---|---|
[AWS] Route 53과 DNS 연결 (1) | 2024.09.13 |
[AWS] Networking and Content Delivery (0) | 2024.09.12 |
AWS를 활용한 멜론 인기차트 크롤링 및 데이터베이스 저장 과정 (0) | 2024.09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