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DATA/Cloud

[AWS] Route 53과 DNS 연결

1. Route 53이란?

  • Amazon Route 53은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DNS(Domain Name System) 웹 서비스입니다.
  • 주요 기능:
    • 도메인 등록: Route 53을 통해 직접 도메인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DNS 라우팅: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 사용자가 원하는 서버에 연결되도록 합니다.
    • 헬스 체크: 사용자의 서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, 서버가 정상 동작하지 않을 때 다른 서버로 트래픽을 자동으로 전환합니다.

2. DNS 연결 방식

  • DNS는 사용자가 입력한 도메인 이름을 서버의 IP 주소로 변환하여 올바른 서버에 연결되도록 합니다.
  • Route 53을 사용하여 DNS 레코드를 설정하면 도메인이 특정 IP 주소 또는 AWS 리소스(S3, CloudFront 등)와 연결됩니다.

주요 DNS 레코드 유형:

  • A 레코드: 도메인을 IPv4 주소에 매핑.
  • AAAA 레코드: 도메인을 IPv6 주소에 매핑.
  • CNAME 레코드: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에 매핑.
  • MX 레코드: 메일 서버를 정의.
  • NS 레코드: 도메인에 대한 네임 서버를 지정.

3. Route 53 DNS 설정 절차

  1. 도메인 구입 또는 기존 도메인 사용:
    • Route 53에서 도메인을 구입하거나 기존 도메인을 Route 53에 연결.
  2. 호스팅 존 생성:
    • 도메인 또는 서브도메인에 대한 호스팅 존을 생성하여 DNS 레코드를 관리.
  3. DNS 레코드 설정:
    • A, CNAME 등 필요한 레코드를 추가해 서버나 AWS 리소스와 연결.
  4. 네임 서버(NS) 설정:
    • 도메인을 구입한 곳에서 Route 53의 네임 서버 정보를 입력해 도메인을 AWS와 연결.

4. 라운드 로빈 방식 및 지리적 라우팅

  • Route 53은 라운드 로빈 방식이나 지리적 라우팅 등을 제공하여 특정 지역에 기반한 트래픽 라우팅, 장애 발생 시 대체 서버로의 트래픽 전환 등이 가능합니다.

https://my.gabia.com/ 

# 위 사이트에서 DNS 주소 구매  

easyysun.store 로 설정했다 ㅎㅎ

 

# aws route 53에 호스팅 영역 등록

# 값/트래핑 라우팅 대상을 가비아 도메인 관리 사이트에 등록

-> 인스턴스 생성 

-> 퍼블릭 IP 검색 시 

 

 

https://my.gabia.com/dashboard

 

my.gabia.com

상태검사 생성해서 마스터와 failover 까지 적용해보았다.

인스턴스 종료하면 보조서버가 나오고

다시 재연결하면 마스터 서버가 나온다.

 

버지니아북부는 마스터서버로 제대로 실행된 모습

 

 

 

 

 

 

+ 프렉티셔너 시험 tip >

인바운드는 비용 청구 X 아웃바운드 청구 O 

 

728x90